오늘은 주식에서 Per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.
주가수익비율(Price earning ratio)로 그저 인터넷에서 검색을 해서 보시면 이해하기가 많이 어렵습니다.
그리고 진짜 의미를 느끼기가 많이 어렵습니다.
예를 들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어떤 치킨집이 있고, 이 치킨집이 1년에 1억의 순이익을 올립니다.
(비용 등을 모두 제외한 순이익 기준)
여러분이 이 치킨집을 인수한다고 가정했을 때,
이 치킨집을 5억에 인수하시면 Per가 5인 치킨집으로 볼 수 있고,
이 치킨집을 10억에 인수하시면 Per가 10인 치킨집으로 볼 수 있습니다.
따라서, Per을 원금 회수 기간으로 이해하시면 편합니다.
여러분이 Per이 20인 기업에 투자하신다면,
원금 회수 기간은 20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예전에는 저 Per주를 무조건 좋은 주식이라고 보고 구매하는 경향이 많았는데,
요즘에는 오히려 고 Per주들이(IT기업이나 제약 바이오가 고 PER 주) 미래 가치를 보고 더욱 급상승하는 경향을 볼 수 있습니다.
따라서, 저 Per주가 무조건 좋다고 생각하시고 구매하는 것보다,
동종업계의 Per대비, 투자하고자 하시는 회사의 Per가 몇인지를 보고
투자 시 참고하는 자료로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지금까지 주식 Per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.
감사합니다.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셀트리온 숏커버링 (숏커버링이란) (0) | 2020.12.13 |
---|---|
PBR이란(PBR의 의미) (0) | 2020.12.10 |
공매도란 (공매도의 의미) (0) | 2020.12.08 |
공인인증서 폐지 (의미와 영향, 관련주) (0) | 2020.12.03 |
모더나 관련주 (ft. 모더나에 관하여) (0) | 2020.12.01 |
댓글